인스턴스 만들기
genser S와 genser G는 같은 “인스턴스 만들기” 흐름을 따르지만, 검색 방식의 차이 때문에 설정 항목이 달라집니다.


검색 결과

호출 데이터 단위
데이터 호출 단위는 검색된 상품 데이터를 서버에서 나눠 가져오는 기준 수량으로, 실제 화면에 보여지는 결과 개수와는 다릅니다.

검색 결과 설명 ⒤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결과가 왜 나오게 되었는지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 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상품만 나열하면 “왜 이게 나왔지?”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설명이 있으면 결과의 맥락을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톤 앤 스타일
genser G에서 AI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검색 응답의 말투, 분위기, 전문성을 제어하는 설정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 경험에 맞는 자연스러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연관 키워드
고객이 입력한 검색어와 연결된 다른 검색어를 함께 보여주는 기능이에요. 검색 결과와 같이 노출되어, 고객이 더 많은 상품을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전체 검색 결과 수
고객이 입력한 검색어로 검색했을 때, 조건에 맞는 상품(또는 item)이 총 몇 개 검색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숫자예요.
제한 용어

제한 용어 ⒤
검색 시 특정 단어나 조건을 제한하여 결과에 포함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중고’를 제한 용어로 등록하면 검색 결과에서 중고 상품은 자동으로 제외됩니다.
자동 완성

자동 완성
자동완성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는 순간, 예상 검색어와 추천 결과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자동 완성 금지어
자동 완성 금지어는 특정 단어가 자동완성 제안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민감하거나 불필요한 키워드를 등록해 고객이 입력했을 때 자동 완성 제안창에 표시되지 않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패싯(Facet)

패싯(Facet) ⒤
패싯은 고객이 검색한 결과를 다양한 기준(카테고리, 브랜드, 가격, 색상 등)으로 세분화해서 필터링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해, 검색 후 노출된 수많은 상품 속에서 고객이 원하는 조건에 맞춰 결과를 좁혀갈 수 있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고급 설정

고급 설정은 기본 검색 결과 세팅 외에, 검색 품질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운영자는 이곳에서 검색 결과 노출 방식, 순서 제어, 추천 로직 등을 직접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기반 후속 검색 ⒤
이미지 기반 후속 검색은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사용을 원하실 경우 별도 문의가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유사한 상품을 다시 검색하는 기능입니다. 텍스트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이미지 검색을 통해 직관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 순서 제어 ⒤
검색 결과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운영자가 특정 상품 정보를 우선적으로 보여주거나, 사용자 경험에 맞춰 정렬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
검색어를 입력하고 결과가 표시되기 전까지는 검색자가 검색이 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이때 아무런 화면이나 메시지가 없으면 서비스가 멈췄다고 오해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새로고침을 시도하거나 검색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색 중임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전용 페이지(로딩 상태 페이지)가 필요합니다. 이 페이지에는 진행 중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스피너, 스켈레톤 UI, 또는 “검색 결과를 준비하고 있습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를 포함해야 검색자가 검색 결과 페이지가 나올 때 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